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입니다. 작년 코로나로 인해 휴가는 쓸일도 없고 일만 내내 해오다 올해 2월 미사용 연차가 이월되지 않고 사라진다는 소식을 듣고 이번 주 과감하게 한 주를 쉬게 되었습니다. 휴가를 쓰니 날도 추워지고 또 다시 뭐 할게 없어서 카트라이더랑 밀리의 서재만이 제 옆을 지켜주고 있네요. 저는 미국 주식 뿐만 아니라 국내 주식도 일부 자산을 투자하고 있는데요 종목은 그리 많지 않은 편입니다. 그 중 작년 코로나가 터지면서 언택트 개이득?이라 생각하며 카카오와 네이버를 일부 매수하여 보유 중에 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종목이 책 제목으로 되어 있는 걸 보고 그냥 가볍게 읽어보았는데,, 단순 카카오, 네이버를 다루는 그런 책이 아니었더군요. 두루 뭉실하게만 알고 있던 핀테크에 대한 소개와 ..
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입니다. 오랜만에 독서 리뷰를 남기네요. 최근 몇 주간 넘나리 바쁜 나머지 쉬는 날 기절하는게 다반사라 책도 잘 못 읽었네요. (이러면서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는 너무 열심히 했습니다). 그럼에도 최근에 가볍게 읽은 책 한권이 있어 짧게 나마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작가 소개 : 돈파파 당신은 누구입니까? 지은이 돈파파는 갓 서울대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대기업에 입사하여 10년간 평범한 직장인으로 지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가장이라는 책임감을 느끼며 국내 부동산, 미국 주식 그리고 해외 부동산 투자에 뛰어들며 단 3년 만에 순자산 15억원을 만들었습니다. 그는 이 3년이라는 시간 동안 자신에게 맞는 투자 목표와 원칙을 하나씩 만들어 나갔으며, 끝없는 부의 갈망이 아닌 자신의 꿈에 집중..
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 입니다. 저번 주 너무나도 바쁜 회사 업무로 인해 이틀간 포스팅을 못했는데유... 죄송합니다.. 어제도 퇴근하고 낮에 잠깐 일어났다가 또 자고... 이제야 좀 살 거 같네요. 오늘 헬스장이 다시 오픈했다고 해서 기분 좋게 운동하고 온 다음 이렇게 포스팅하고 자려고 합니다. 투자자의 인문학 서재 책 하나로 너무 우려 먹는거 아니냐?고 비판할 수 있겠지만, 역사를 지지리 싫어했던 제가 지루하지 않게 재밌게 읽었던 책이고, 사건 하나 하나에 경제적 관점까지 더해졌기에 보또보 하게 되며 포스팅도 하게 되는 것 같네요. 허허... 오늘은 시간적 열거가 아닌 특정 한 사건을 소개하며 이와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이센 vs 프랑스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은 프..
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입니다. 날은 춥고 쉬는 날 집에서 할 거라곤 카트와 책 읽기가 전부인 요즘이네요. 부자 및 재테크 관련 책만 주로 읽던 저에게 문득 장르를 확장 시켜보고 싶은 욕구?가 생겨 철학 관련 책을 한번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철학이라면 저에게는 뭔가 무겁고, 지루하고, 따분하고, 어렵고, 고상하고, 다가가기 어렵고, 나의 영역이 아닌거 같고, 뭔가 학자 같은 분들이 하는 분야라고만 생각해 왔어요. 그러기에 괜시리 먼저 읽기도 꺼려지는? 그런 카테고리 이기두 하였구요. 그럼에도 신년 기념? 도전삼아 한번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많은 분들이 읽고 의견이 있는 책이라면 나도 좀 쉽게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 밀리의 서재 베스트셀러에 등록되어 있는 박찬국 저자..
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 입니다. 저번 글에 이어 경제적 관점으로 보는 역사 글을 포스팅 해 보고자 합니다. 이번 글은 르네상스 이후 대항해시대를 경제적인 관점으로 쉽게나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어가면서 동시에 국가별로 정리해 이해를 쉽게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포르투갈, 스페인 : 대항해시대의 출발 르네상스 시대에 인도나 동남아 등지에서 생산된 후추와 같은 향신료들은 아랍권을 거쳐 이탈리아 도시 국가에세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향신료들이 너무나 비쌌다는 거였으며, 거기다 오스만 제국이 터키지역을 점령하며 교역료를 통제하게 되면서부터 향신료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랐습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유럽인들은 육로가 아닌 해로를 통해 직접 동남아시아로 가..
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입니다. 지난 번에 포스팅한 투자자의 인문학의 서재 내용 중 추가적으로 정리하고 공유하고 싶은 내용이 있어서 다시 한 번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흔히 세계 역사를 이전부터 현재까지 돌아볼 때 주로 역사적인 사건이나 철학적인 관점에서 보는 경우는 많지만 경제적인 접근을 하는 경우는 많이 없었습니다. 그런 저에게 서준식님의 수많은 역사적 사회 현상을 '경제적' 돈'의 관점에서 관찰하고 서술하는 점은 상당히 흥미롭게 다가왔고 이렇게 다시 정리하며 공부하게 되었네요. 그럼 간단한 정리를 통한 포스팅을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가의 경제론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유명한 고대 그리스 철학자 중 한명인 플라톤은 그의 저서인 에서 시민의 계급을 농부, 수공업자 등 생산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