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입니다.
지난 번 글에서 대한민국 수출 경제 소개와 함께 중석 그리고 대구텍까지 다루어 보았는데요, 오늘은 1960년대 처절하면서도 애절했던 대한민국의 수출 변천사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60년대 당시 대한민국은 자원도 없고 내수시장은 없다고해도 될 정도로 작았습니다. 설상가상으로 미국의 원조가 줄어들며 어떻게든 돌파구를 찾아야 했던 대한민국은 팔 수 있는 건 모두 내다 팔자는 '수출 제일주의'를 취하게 됩니다. 그럼 이당시 산으로 들로 바다로 팔 것을 찾아 헤메었던 당시의 수출 품목을 좀 더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1960년 수출 주역, 양잠업
양잠업은 뽕나무를 재배하여 누에를 쳐서 고치를 생산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1950년대 미국의 원조가 끊긴 설상가상의 상황속에서 광물 수출과 함께 땅에 곡물을 심고 누에를 키워 실을 만들어 파는 양잠업은 대한민국이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 중 하나였습니다.
당시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생사는 국내 수요를 충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로 27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대한민국 경제에서 효자노릇을 톡톡히 해내었습니다. 이와 함께 매년 연초 대통령의 청와대 보고에서 '잠업증산'과 '생사수출' 확대는 빠지지 않고 언급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공무원들 역시 전국의 뽕밭을 누비며 증산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전국 농촌에서도 가난을 딛고 일어서기 위한 발판으로 누에치기를 하는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1962년 정부 주도의 '잠업 생산 5개년 계획'이 시작되며, 양잠업은 더욱 전성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전체 수출액에서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40%가 넘어섰고, 수산물까지 합치면 비중이 66%에 달하며 광산물을 제치고 최대 수출 품목이 되었습니다. 양잠 농가는 계속 늘어나며 1974년 50만 가구에 이르었으며, 3억 달러 이상의 수출을 기록하였습니다. 이처럼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누에를 치고 손이 짓무르도록 생사를 한 여공들이야말로 60년대 숨겨진 수출 역군이었던 것입니다.
가발, 1960년대 3대 수출품 중 하나
1960년대 가발은 3대 수출품 중 하나였습니다. 1964년 서울통상을 통해 처음으로 가발을 수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당시 14,000 달러에 불과했던 수출액은 다음해 155만 달러를 기록하며 100배 이상 증가하게 됩니다. 1966년에는 미국이 공산국가인 중국산 가발에 대해 수입금지를 함으로써, 1,00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홍콩, 대만, 일본산 가발들도 규제에 묶이며 해외 바이어들의 주목을 받게된 대한민국의 가발 산업은 활황을 맞게 됩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방물장수, 엿장수들은 아낙네들의 머리카락을 흥정하며 매수하는데 정신이 없었으며, 모발 수집상들 또한 미용사를 데리고 농촌에 가서, 시골 아가씨들에게 최신 유행 파마를 해 주는 조건으로 자른 머리를 수거해 가곤 했습니다.
한국산 가발은 미국 시장을 독점하시다시피 했으며, 오늘날까지 대한민국 가발 산업은 시장의 80%를 차지하며 세계 최고의 위치에 있습니다. 비록 인건비 부담으로 공장은 해외로 많이 이전하였지만, 기술력과 디자인은 아직까지도 세계에서 명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소변, 이거도 파나요?
이렇다 할 수출품이 없던 60년대 소변도 하나의 수출품이었습니다. 당시 공중화장실에는 "여러분의 오줌이 귀중한 외화를 벌어들입니다. 한방울이라도 통속에!"라는 안내문과 함께 흰색 플라스틱 통이 놓여 있었습니다. 당시 대한민국은 이 오줌을 수거한 후 화학처리를 한 다음 일본에 팔아 돈을 벌곤 했습니다.
오줌 속에 있는 우로키나아제(Urokinase)라는 성분은 뇌졸중 치료제를 만드는 주원료 중 하나입니다. 당시 우로키나아제는 kg 당 2,000 달러에 달했기에, 마땅한 수출 품목이 없던 대한민국에게 우로키나아제는 상당히 매력적인 수출품이었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